“People who have recently lost someone have a certain look, recognizable maybe only to those who have seen that look on their own faces. I have noticed it on my face and I notice it now on others. The look is one of extreme vulnerability, nakedness, openness. It is the look of someone who walks from the ophthalmologist's office into the bright daylight with dilated eyes, or of someone who wears ..
봄 편지 하얀 민들레 꽃씨 속에 바람으로 숨어서 오렴 이름없는 풀섶에서 잔기침하는 들꽃으로 오렴 눈 덮인 강 밑을 흐르는 물로 오렴 부리 고운 연둣빛 산새의 노래와 함께 오렴 해마다 내 가슴에 보이지 않게 살아 오는 봄 진달래 꽃망울처럼 아프게 부어오른 그리움 말없이 터뜨리며 나에게 오렴 Blue NightsBy Joan Didion“Do not whine...Do not complain. Work harder. Spend more time alone.”“In theory momentos serve to bring back the moment. In fact they serve only to make clear how inadequately I appreciated the moment when it wa..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32872.html 한병철 “성과에 집착 스스로 착취” 신진욱 “그 역시 타인에 의한 착취” 신 ‘정의론’에서 ‘성과 정의’는 분배 정의의 중요한 한 차원으로 이해되어 왔다. 특히 사회민주주의 전통에서 노동, 성과, 기여에 대한 정당한 보상은 ‘사회적 정의’의 중요한 측면이었고, 이는 자유주의 정의론이 주로 ‘기회의 정의’에 집중해온 것과는 구분됐다. 오늘날 사회 현실에 대한 주된 비판 가운데 하나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노동에 상응하는 보상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 반면 극소수의 사람들이 사회의 대부분의 자원을 가져간다는 것 아닌가? 이른바 ‘20 대 80 사회’ ‘1% 대 99%’ ‘승자독식 사회’ 등의..
- Total
- Today
- Yesterday
- modernity
- 유럽중심사관
- 덕이 기타는 내가 파리에 가지고 있음
- EBS
- 역사학
- 조영덕
- Joan Didion
- Run round in circle
- 신진욱
- de profundis
- 잭 구디
- Ferdinand de Saussure
- 조현병
- unreleased 1980
- 근대성에 관한 고찰
- 이해인
- 사회공포증
- 봄 편지
- 불어
- 프랑스어
- 사회학
- 조영덕트리오
- brad meahldau
- Brad Mehldau
- 위닝라이벌
- 근대성
- 불어과외
- oscar wilde
- jack goody
- highway rider/lin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